
1. 'CPC'는 무엇인가요?
'CPC'란 'Cost Per Click'의 약자로 1회 클릭당 비용을 의미합니다.
카카오애드핏 매체별 보고서에서는 매체 및 광고단위별로 한 클릭당 벌어들이는 CPC 값을 제공하며,
카카오애드핏 속성별 보고서에서는 광고유형별로 한 클릭당 벌어들이는 CPC 값을 제공합니다.
또한, CPC는 광고주의 입찰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.
2. 'CTR'은 무엇인가요?
'CTR'이란 'Click-through rate'의 약자로 실제 광고 노출 수 대비 클릭 수 비율 즉, 광고 클릭률을 뜻합니다.
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CTR = 클릭 수 / 광고 노출 수
카카오애드핏 보고서에서 제공하는 CTR을 통해 AdFit의 광고 효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
3. 'eCPM'은 무엇인가요?
'eCPM(Effective cost per 1000 impressions)'은 1,000회 노출 기준으로 얻을 수 있는 예상 광고 수익을 뜻합니다.
eCPM의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eCPM = 총 광고 수익 / 총 광고 노출 수 x 1000
카카오애드핏 보고서에서는 매체별 및 속성별 eCPM을 제공합니다. 이를 통해 AdFit의 광고 효율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
4. 'Fill-rate'은 무엇인가요?
'Fill-rate'란 광고 요청 대비 실제 노출한 광고의 비율을 뜻합니다.
즉,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.
Fill-rate = 총 광고노출수 / 총 광고요청수
5. '광고노출수'는 무엇인가요?
'광고노출수'란 매체에서 실제로 노출한 광고의 횟수입니다.
각 광고단위에서 실제 광고를 노출할 때마다 1회로 계산합니다.
카카오애드핏 매체별 보고서에서는 매체 및 광고단위별로 광고노출수를 조회할 수 있으며,
카카오애드핏 속성별 보고서에서는 광고 유형별로 광고노출수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.
6. '광고요청수'는 무엇인가요?
'광고요청수'란 매체에서 광고를 요청한 횟수입니다. 각 광고단위에서 광고를 요청할 때마다 1회로 계산합니다.
카카오애드핏 매체별 보고서에서는 매체 및 광고단위별로 광고요청수를 조회할 수 있으며,
카카오애드핏 속성별 보고서에서는 광고 유형별로 광고요청수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.
7. '클릭수'는 무엇인가요?
'클릭수'는 매체에 게재된 광고를 실제 사용자가 클릭한 횟수입니다.
카카오애드핏에서는 내부 규정에 따라 무효 클릭에 대한 필터링을 실시하고 있습니다.
따라서,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한 횟수 중 유효 클릭에 대해서 1회로 계산합니다.
8. CPC 변동 사유가 궁금합니다.
CPC는 매체에 광고를 노출하는 광고주의 입찰 상황에 따라 가변적이고,
매체 지면의 효율에 따라 입찰 가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
'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신입 디자이너가 인공지능 개발자와 소통하기 위해 알면 좋은 IT 지식 6가지 (0) | 2023.03.22 |
---|---|
디자이너가 웹 개발자와 소통하기 위해 알면 좋은 IT 키워드 20가지 (0) | 2023.03.21 |
티스토리 사이드바에 애드센스 광고 넣기 (2개 이상 가능) (0) | 2023.03.17 |
티스토리 블로그 인 경우 애드센스 ads.txt 찾을 수 없음 해결 방법 (6) | 2023.03.11 |
자동화 수익 블로그를 위해 설정해야 할 티스토리 블로그 설정 세팅 (0) | 2023.03.11 |
댓글